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케티 vs 구글·IBM, 양자컴퓨터 기술 비교 분석

by 끄레몽의 세상만사 2025. 4. 12.
반응형

리케티와 양자컴퓨터

리케티, 구글, IBM은 모두 양자컴퓨터 분야의 주요 기업이지만, 접근 방식과 기술 전략은 전혀 다릅니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세 기업의 양자기술을 비교 분석해 드립니다.

 

 

 

 

왜 이들 3개 기업이 주목받는가?

양자컴퓨팅은 전 세계 과학기술 패러다임을 바꿀 혁신 기술로, 각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이 적극 투자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그 중심에는 IBM, 구글, 그리고 떠오르는 스타트업 리케티(Rigetti Computing)가 있습니다.

  • IBM: 양자컴퓨터의 상용화와 생태계 조성을 선도
  • 구글: 양자우월성(Quantum Supremacy) 선언으로 기술적 존재감 확보
  • 리케티: 풀스택 통합 양자 플랫폼을 갖춘 유망 스타트업

이제 이 세 기업의 양자 기술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비교해봅니다.

1. 하드웨어 아키텍처 비교

큐비트 기술

항목 IBM 구글 리케티
큐비트 방식 초전도 큐비트 초전도 큐비트 초전도 큐비트
최신 프로세서 Condor (1,121 Q) Sycamore (~70 Q) Aspen-M (~80 Q, 병렬 구조)
큐비트 구조 모듈형 고밀도 배열 2D 격자형 상호작용 구조 병렬 큐비트 블록 구조
오류율 관리 안정적, 고도화된 오류 보정 속도 빠르나 오류율 상대적으로 높음 회로 단순화 기반, 오류율 낮음

요약: IBM은 신뢰성, 구글은 성능 실험, 리케티는 구조적 유연성에 강점이 있습니다.

2. 소프트웨어 및 개발 환경

개발 언어 및 SDK

항목 IBM 구글 리케티
개발 언어 Qiskit (Python) Cirq (Python) Quil (자체 언어)
시뮬레이터 Aer qsim Forest
하이브리드 연산 지원 지원 지원 특화 지원 (◎)

리케티는 자체 언어 Quil과 SDK Forest를 통해 양자-고전 통합(Hybrid Quantum-Classical) 연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클라우드 서비스 및 접근성

플랫폼 비교

항목 IBM 구글 리케티
클라우드 플랫폼 IBM Quantum Experience Google Cloud + Cirq QCS (Quantum Cloud Services)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 기반 실습 + 시뮬레이터 CLI 및 API 중심 Jupyter + API + 실시간 큐
무료 사용 O O X (기업 파트너 대상 제공)

요약: 리케티는 고급 기능 위주의 B2B 특화형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 생태계 확장 전략

  • IBM: 글로벌 커뮤니티, Qiskit School, 파트너십 확대
  • 구글: NASA, UCSB 등 연구 기반 협력 중심
  • 리케티: Amazon AWS, DARPA 등 실전 중심 기술 협력

5. 기술 방향성 차이

  • IBM: 모듈형 확장 + 오류 보정 → 범용 양자컴퓨터 추구
  • 구글: 양자우월성 기반 성능 탐색 중심
  • 리케티: 실질적 문제 해결, 하이브리드 최적화 지향

누가 양자 시대를 이끌 것인가?

양자컴퓨팅은 아직 초기 시장이지만, 이들 3개 기업은 각자의 방식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IBM: 대규모 인프라와 생태계 기반 확장 전략
  • 구글: 기술 선도 및 실험적 접근
  • 리케티: 통합형 플랫폼과 실용성에 집중

앞으로 5~10년 내에 누가 시장을 선도하게 될지, 지금부터 그 경쟁의 방향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